리눅스의 gnome/kde 데스크탑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지금까지 제가 사용했던 방법은 VNC Sever와 Xming을 이용한 방법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둘은 세션 저장이 안 된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즉, 자신이 작업하던 도중에 클라이언트를 꺼버리면 지금까지의 작업 내용이 다 날라가 버린다는 것입니다. 이것을 해결한 것이 FreeNX를 이용한 데스크탑 접속입니다.
FreeNX는 세션 관리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서버/클라이언트 설정도 다른 것에 비해서 간단합니다.
* 서버 설치 방법
CentOS 5.3을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다른 OS는 서버 프로그램 설치만 다르지 나머지는 동일합니다.
CentOS는 FreeNX를 지원합니다. 간단하게 yum을 사용해서 서버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
[root ~]# yum install freenx
설치가 완료되면
/etc/nxserver/node.conf.sample 파일을 /etc/nxserver/node.conf 로 복사합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root ~]# vim /etc/nxserver/node.conf
# FreeNX는 SSH를 사용해서 접속을 합니다.
# 리눅스 서버의 SSHD 포트를 22 외의 다른 번호(8080과 같이) 변경되었으면 아래와 같이 변경합니다.
SSHD_PORT=8080
# 인증 관련 설정입니다. 원래는 "0"으로 되어 있을 것입니다. "1"로 변경합니다.
ENABLE_PASSDB_AUTHENTICATION="1"
# 로그 관련 설정입니다.
NX_LOG_LEVEL=6
NX_LOGFILE=/var/log/nxserver.log
환경 설정이 끝났으면 다음과 같이 사용자를 추가합니다.
[root ~]# nxserver --adduser [사용자ID]
[root ~]# nxserver --passwd [사용자ID]
[사용자ID]에는 리눅스에 실제로 등록된 사용자ID만 입력해야 합니다.
그런데 실제로 사용해 보면 아시겠지만, 굳이 위와 같이 사용자를 추가하지 않아도 잘 접속되더군요...
사용자 추가까지 끝났으면 서버를 시작합니다.
[root ~]# nxserver --start
한글을 사용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수정합니다.
[root ~]# vim /etc/profile or vim /etc/bashrc
export XMODIFIERS=@im=SCIM
export GTK_IM_MODULE=scim
export QT_IM_MODULE=scim
* 클라이언트 설치 방법
http://www.nomachine.com/에서 자신의 OS 환경에 맞는 클라이언트를 다운받아서 설치합니다.
다음은 윈도우용 클라이언트입니다.
nxclient-3.3.0-6.exe
클라이언트 설치가 끝났으면
'NX Connection Wizard'를 실행합니다.
위자드를 따라서 입력값을 입력합니다.
Session에는 적당한 이름을 써주시면 됩니다.
녹색 부분은 체크하시면 다음 화면에 아래와 같은 확장 설정창이 뜹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서버의 공개키를 적어주셔야 한다는 것입니다.
붉은색 네모칸으로 표시된 버튼을 클릭해서 서버의 공개를 적습니다.
서버의 공개키는 일반적으로
/etc/nxserver/client.id_dsa.key 또는 /var/lib/nxserver/home/.ssh/client.id_dsa.key
에 들어있습니다.
설정이 완료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뜨고 서버에 접속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FreeNX는 OpenGL도 지원하다고 합니다.
OpenGL은 사용해 보질 않아서 장담은 못하지만...
http://jetzt.tistory.com/531
FreeNX는 세션 관리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서버/클라이언트 설정도 다른 것에 비해서 간단합니다.
* 서버 설치 방법
CentOS 5.3을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다른 OS는 서버 프로그램 설치만 다르지 나머지는 동일합니다.
CentOS는 FreeNX를 지원합니다. 간단하게 yum을 사용해서 서버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
[root ~]# yum install freenx
설치가 완료되면
/etc/nxserver/node.conf.sample 파일을 /etc/nxserver/node.conf 로 복사합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root ~]# vim /etc/nxserver/node.conf
# FreeNX는 SSH를 사용해서 접속을 합니다.
# 리눅스 서버의 SSHD 포트를 22 외의 다른 번호(8080과 같이) 변경되었으면 아래와 같이 변경합니다.
SSHD_PORT=8080
# 인증 관련 설정입니다. 원래는 "0"으로 되어 있을 것입니다. "1"로 변경합니다.
ENABLE_PASSDB_AUTHENTICATION="1"
# 로그 관련 설정입니다.
NX_LOG_LEVEL=6
NX_LOGFILE=/var/log/nxserver.log
환경 설정이 끝났으면 다음과 같이 사용자를 추가합니다.
[root ~]# nxserver --adduser [사용자ID]
[root ~]# nxserver --passwd [사용자ID]
[사용자ID]에는 리눅스에 실제로 등록된 사용자ID만 입력해야 합니다.
그런데 실제로 사용해 보면 아시겠지만, 굳이 위와 같이 사용자를 추가하지 않아도 잘 접속되더군요...
사용자 추가까지 끝났으면 서버를 시작합니다.
[root ~]# nxserver --start
한글을 사용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수정합니다.
[root ~]# vim /etc/profile or vim /etc/bashrc
export XMODIFIERS=@im=SCIM
export GTK_IM_MODULE=scim
export QT_IM_MODULE=scim
* 클라이언트 설치 방법
http://www.nomachine.com/에서 자신의 OS 환경에 맞는 클라이언트를 다운받아서 설치합니다.
다음은 윈도우용 클라이언트입니다.
nxclient-3.3.0-6.exe
클라이언트 설치가 끝났으면
'NX Connection Wizard'를 실행합니다.
위자드를 따라서 입력값을 입력합니다.
Session에는 적당한 이름을 써주시면 됩니다.
녹색 부분은 체크하시면 다음 화면에 아래와 같은 확장 설정창이 뜹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서버의 공개키를 적어주셔야 한다는 것입니다.
붉은색 네모칸으로 표시된 버튼을 클릭해서 서버의 공개를 적습니다.
서버의 공개키는 일반적으로
/etc/nxserver/client.id_dsa.key 또는 /var/lib/nxserver/home/.ssh/client.id_dsa.key
에 들어있습니다.
설정이 완료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뜨고 서버에 접속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FreeNX는 OpenGL도 지원하다고 합니다.
OpenGL은 사용해 보질 않아서 장담은 못하지만...
http://jetzt.tistory.com/531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