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b 사용법
1. 소스보기
명령어: l (list)
gdb>set listsize 30
소스코드를 30줄씩 표시
gdb> l main
gdb> l 30
특정 줄이나 함수로 이동하고자 할때
gdb> l file.c:func:
특정 파일의 func함수를 보고 싶다면
2. breakpoint
gdb> file.c:10
특정파일의 10행
gdb>b 10 if tmp == 0
tmp변수가 0일때 10행에 브레이크
gdb> cl 10
cl (clear) 브레이크 포인트를 지운다
gdb> info breakpoints
브레이크 포인트의 목록을 얻는다
gdb> enable 1
gdb> disable 1
1번째 브레이크를 유효, 뮤효화 한다.
3. 디버그 수행
명령어: r(run) ; 수행
명령어: r arg1 arg2; 수행시 arg1, arg2를 인수로서 전달
명령어: k(kill); 수행 종료
명령어: s(step); 현재 행 수행 후 정지, 함수 호출시 내불로 들어감
명령어 : n (next) : 현재 행 수행 후 정지, 함수 호출 시 함수 수행 후 다음 행으로 감
명령어 : c (continue) : 브레이크 포인트를 만날때까지 계속 진행
명령어 : u (until) : 현재 루프를 빠져나감
명령어 : finish : 현재 함수를 수행하고 빠져나감
명령어 : return : 현재 함수를 수행하지 않고 빠져나감
return arg1 : 현재 함수를 수행하지 않고 빠져나가는데... arg1을 리턴
명령어 : si : 현재의 인스트럭션을 수행, 함수 호출 시 함수 내부로 들어감
명령어 : ni : 현재의 인스트럭션을 수행, 함수 호출 시 함수 내부로 들어가지 않음
4. watch point
gdb> watch tmp
tmp변수에 watch설정
tmp변수가 바뀔때 마다 브레이크 걸리면서 tmp변수의 이전 값과 현재값을 출력
5. 변수와 레지스트 값 출력
명령어 : info locals : 현재 상태에서의 지역변수 출력
명령어 : info locals : 현재 상태에서의 지역변수 출력
명령어 : info variables : 현재 상태에서의 전역변수 리스트 출력
명령어 : p (printf) : 개별 변수 출력
위에 명령어 옆에 써 놓은 간략한 설명 그대로다.
info locals 는 지역변수를, info variables는 전역변수를 보여준다.
p는 하나의 개별 변수를 출력하는데..
p number1
이렇게 입력하면 number1의 값을 출력하게 된다.
p명령어는 포인트변수도 출력이 가능한데...C에서처럼.. 앞에 *를 붙여주면 된다.
p *pointer
라고 한다면... pointer가 가리키는 값이 출력된다. 만약 여기서, 앞에 *를 빼 먹는다면...그냥 pointer의 주소값을 출력하게 된다.
또한, 포인트가 가지는 구조체 배열을 출력할 수도 있는데...이를 위해서는, *를 사용함과 동시에 배열의 크기도 알려야 하는데..그때는 @를 사용하고, 기존에 포인터가 가리키는 곳을 출력한다는 의미의 p *pointer의 뒤에 배열의 크기를 알려주는 @4 (배열의 크기가 4라고 생각)를 더 쓰면 된다.
마지막으로... p명령어로 레지스트 값도 출력할 수 있는데...
p $eax
와 같이, $뒤에 레지스트명을 적어주면 된다.
5.5 display를 이용한 변수 값 출력
명령어 : display i
다시 한번 예상치도 못했던...설명 부분이다..^^;; 그냥 변수 값을 확인하고자 할때 p만을 사용해도 괜찮지만, 계속해서 그 변수를 확인해야 할 때, 매번 p명령을 내려야 하는 수고를 덜때 편리한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위에 적어 놨듯이, 명령법은 간단하다.
display i
이 명령을 쓰면, s명령으로 한 행씩 진행하면서 p명령으로 매번 변수 값이 어떻게 변경되었는지 확인을 쉽게 할 수 있다.
이 명령은, 어떠한 범위를 넘어가면 자동으로 변수를 나타내지 않는데...
음...예를들자면... 어떤한 함수에 num이라는 변수를 display명령으로 출력했다고 하자.
이 함수가 리턴되고 main함수로 돌아간다면...num이라는 변수는 더이상 출력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더이상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변수를 지운거나, 변수값의 출력이 충분할때에는
undisplay i
라는 명령을 사용하면 되겠다.
또한, display명령도 브레이크 포인트처럼, 활성화 비 활성화 기능이 있으므로, undisplay를 사용하기 싫다면...잠깐 비 활성화 시켜 놓아도 괜찮겠다.
enable display 3 : 디스플레이 번호 3번을 활성화 시키겠다..
disable display 4 : 디스플레이 번호 4번을 비활성화 시키겠다..
6. 스택 상태 검사
명령어 : bt (backtrace) : 전체 스택 출력
명령어 : info f (frame) : 스택의 정보 출력
명령어 : info args : 함수가 호출 될 때 인자를 출력
명령어 : info locals : 함수의 지역변수를 출력
이 명령은...
일단 프로그램이 실행중이어야 한다. 그렇지 않고 그냥 info f 를 한다거나 bt를 한다면 스택이 없다고 출력된다.
스택은 하나일 수도 있고, 여러개 일 수도 있다.
일단 bt 명령으로 전체 스택을 보면, 각 스택의 번호가 매겨져 있다.
여기서
frame 3
한다면... bt로 봤던 여러 스택중, 3번 스택으로 이동하게 되겠다.
up
한다면... 한단계 상위 스택 프레임으로 이동
down
한다면... 한단계 하위 스택 프레임으로 이동 한다.
세그멘테이션 오류나 다른 기타 오류등을 판변할때, 스택의 상태를 검사해 봄으로써 해결 할 수 있는 경우가 많고, 스택 프레임 정보에는 함수를 호출하거나 할때 인자와 함께 리턴 어드레스가 들어가 있기 때문에 디버깅시 더 중요하다고 할수 있다. 그래서 함수의 인자 값을 읽어봄으로써 함수가 제대로 호출되었는지 확인할수 있고, 리턴 어드레스를 읽어봄으로써 어떤 함수의 어떤 부분에서 해당 함수를 호출 했는지 알 수 있다.
CORE파일
먼저 ulimit -c unlimited를 해서, linux가 core dump를 할 수 있도록한다.
1. CORE파일 파악
$> file core파일
를 하면, core파일을 생성한 실행파일을 알 수 있다.
2. gdb를 이용한 core분석
$>gdb core를 발생한 파일 core파일
segmentation fault가 발생한 위치가 표시된다
Comments